본문 바로가기

IoT Communication

(7)
블루투스 (bluetooth) 패킷 구조 지난번 블루투스 스택에 대하여 포스팅한지 벌써 6개월이 넘었다... 그동안 너무 바빠서 포스팅 해야지 하면서 계속 미루다가 다시 마음을 잡고 쭉쭉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앞으로 블루투스 스택과 오늘의 포스팅인 블루투스의 패킷구조를 포함하여 아두이노를 이용한 간단한 실습들을 정리해서 올려보려고 한다. 그럼 오늘은 오랜만에 워밍업으로 간단한 블루투스의 패킷 구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블루투스 패킷 구조 블루투스의 표준 규정은 Bluetooth SIG (Special Interest Group) 에서 규정하고 있고, 모든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기기들은 이 표준 스펙을 따름으로써 원활하게 장비들간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블루투스의 specification은 블루투스 공식 사이트..
블루투스 (Bluetooth) 프로토콜 (Protocol) 스택 (Stack) 지난번 블루투스의 간단한 원리와 역사에 대해서 알아봤다. 앞으로는 아마 블루투스에 관한 자료들을 많이 포스팅할 것 같아서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하나씩 올려볼까 한다. 오늘은 블루투스의 스택에 대해서 올려보고자 한다. 앞으로 블루투스 개발에 대해서 올릴 건데 자주 등장하는 개념일 것이다. 일단 프로토콜이란 '디바이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약속'이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통신에 대해서 공부를 해봤다면 OSI 7 Layer, TCP/IP 스택에 대해서 공부를 해봤을 것이다. 오늘은 이러한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스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블루투스 장치의 구분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라고 하면 Bluetooth Classic부터 Blue..
블루투스 (Bluetooth) 의 역사 및 원리 블루투스 (Bluetooth)란 무엇?? 현재 이 블로그를 보고 있는 사람 중에 블루투스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래도 블루투스를 한 문장으로 설명하자면 '근거리에서 전자기기 간에 선 연결 없이 주파수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현재 포스팅을 하고 있는 현시점에 블루투스 5.0까지 나와있어서 기존의 근거리?라고 말하기도 무서울 정도로 통신 거리가 비약적으로 늘어났지만 앞으로 블루투스의 개념과 스택 구조, 개발에 대한 포스팅을 위해서 간단히 블루투스의 역사부터 설명하고자 한다. 기술의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발전과정을 알면 앞으로의 블루투스 진영에서의 목표를 알 수 있지 않을까??? 위에 보이는 것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블루투스의 로고이다. 우선 이름의 유래부터 알..
DRX (Discontinuous Reception) DRX(Discontinuous Reception)는 LTE Rel.8에서 정의된 기술로, 말 그대로 단말기가 비연속적인 수신을 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연속적인 수신을 비연속적인 수신으로 변경하면서, 수신하지 않는 구간이 생기게 되고, 그 구간동안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먼저, DRX는 단말기의 RRC 상태에 따라 Idle DRX와 Connected-DRX (C-DRX)로 구분된다. 위 그림과 같이,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RRC Idle 상태가 되고 Idle DRX가 동작하며, 단말기가 LTE 망에 붙으면 RRC Connected 상태가 되고 C-DRX가 동작한다. 위 그래프와 같이 DRX를 사용하여 일정 주기 동안 단말 자체에서 수신을 하지않고 전력 소모를 줄인다. C-DRX에서는 PDCCH ..
LTE Identification LTE에서 사용되는 식별자에 대해서 알아본다. 여기서 LTE 식별자란, 네트워크상에서 접속한 단말기 또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유저를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1. UE ID (User Equipment ID) 1-1. PLMN ID PLMN ID란 가입자가 가입한 통신망을 나타내는데, MCC(Mobile Country Code)는 국가별로 할당된 코드를, MNC(Mobile Network Code)는 국가내에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통신망을 나타낸다. 한국을 예를 들어 나타내면 아래 표와 같다. (ITU의 T-SP-E.212B-2018 참고)MCC MNC Network 45000KT / Dacom (?) / 미사용 네트워크 450 01 Globalstar Asia Pacific / Satellite net..
RRC (Radio Resource Control) RRC(Radio Resource Control)는 LTE 프로토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이 무선 연결을 체결할 때 사용되는 계층이다. 위 그림은 LTE 네트워크를 아주 간략하게 나타낸 그림이다. 먼저 용어에 대해서 정리한다. UE(User Equipment) 사용자가 LTE 접속 시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LTE 접속 단말을 모두 지칭한다.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LTE 무선접속망을 지칭한다. 기지국들의 모임으로 구성된다. eNodeB(evolved Node B, eNB 라고도 표기함) LTE 기지국을 지칭한다. (보통 Cell 이라고도 합니다.) EPC(Evolved Packet Core) LTE 코어망이다. 실제..
3GPP IoT 통신 규격 IoT 광역 네트워크로 주로 언급되는 LPWAN(Low-Power Wide-Area Network) 중,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한 통신 규격에 대해서 간략히 기술한다. (GSM 계열은 다루지 않는다.) Rel.8부터 취급한다. 크게 LTE-MTC 계열, NB-IoT 계열로 구분한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NB(Narrow Band) 해당 규격들을 표로 정리하여 비교해본다.(NIMTC, SIMTC 및 Rel.14에 해당하는 부분은 이 글에서 다루지 않는다.) LTE Cat.1 LTE Cat.0 LTE Cat.M1 LTE Cat.NB1 Release 8 12 13 13 Down/Up Link Up to10/5 ..